기생충(Parasite)의 오스카 4관왕 – 성공의 분석

오스카기생충

요즘 회사에서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화장실에서든 복도에서든 기생충이야기로 내 볼일을 못볼때가 많다.

나 나름대로  한국인이기에 기분 좋고 자랑스러운 일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는 그만큼 오스카영화제는 명성있고 권위있는 행사일 것이다.  나에게 말을 거는 모든 사람들이 백인들 만은 아니지만 모든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는 영화가 정말 재미있었다는 칭찬일색의 이야기이다. 한국어로 말을 하지만 섭타이틀(자막)을 읽고 보면서도 영화가 재미있다고 느꼈다는 것이다.  이는 그만큼 영화가 짜임새있게 잘 만들어진 영화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누가 봐도 재미있기 때문이다. 

내가 청소년기에 개봉관에서 한글로 자막이 나오는 영어로 말하는 영화를 보면서 느꼈던 것과 마찬가지로 큰 차이가 없었을 것이다. 즉 재미있게 잘 만들어진 영화는 어떻게 봐도 재미있기 때문이다. 믈론 디테일하게 언어가 주는 감정의 가는 선을 찿지는 못하겠지만 그런 언어가 주는 감성의 선을 놓쳐도 재미가 있는 영화가  진짜 영화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또다른 성공의 요건 중의 하나는 너무나도 한국적인 영화라는 것이다. 반지하에서 사는 온가족들, 빈부의 격차, 학교 이외외 과외 수업, 그리고 젊은 청년들의 구직란 등을 유리창 같이 그대로 보여 주었기 때문이다. 한국사람들의 현실상을 투명하게 그대로 너무 적나라하게 해학적으로 보여주었기 때문이지 않을까 한다.  봉준호 감독 외에 송강호, 최우식, 박소담, 이정은 등 많은 배우들이 특색있는 연기도 하였지만 영화라는 허구속에 너무나 잘 보이는 한국의 현실이 한국에 직접 가지 않고도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한다.

영화는 보는 사람이 몰입할때 진정으로 재미를 더 느낄 수 있다. 처음 시작해서 마지막에 영화가 끝날때까지 몰입하여 보다가 어떻게 끝날까 상상을 하기 시작한다. 영화의 끝을 상상하는 것은 이미 그 영화에 몰입이 되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기생충은 내가 상상하던 영화의 끝이 아니었다. 허구에 강력한 장면들로  현시대에 사는 우리들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의미가 있는 마무리가 아니었을까 한다.

다시 한번 기생충의 오스카 4관왕을 축하하며 덩달아 올라간 한국인의 위상을 기뻐하며…..

 

답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