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직장 잡기 16 (미국 직장 생활 : 노후대책)

노후대책은 어떻게 하고 계신지요? 요즘 미국 직장들은 참 불안정 한 직장들이 많습니다. 불경기도 한 요인이기도 하지만 계속적인 해고와 기업의 도산및 파산등으로 많은 미국인들 자체도 직장 잡기가 힘들기도 하지만 잡아논 직장을 유지하는 것 자체도 도전입니다.

그런 가운데 노후 대책도 세워야 하는데  받는 봉급갖고 집 몰게지 내고 텍스내고 의료보험비 내고 등등 이것 저것 내고 나면 남는 돈은 별로 안됩니다. 거기에다 인상된 개스값에 대학교라도 다니는 아이들이 있으면 큰돈들이 듬성 듬성 들어가고 직장에서는 해고의 위협에 시달려 집에서는 지출 부담에 스트레스를 받아야만 합니다.  

대부분의 미국가정들이 부부가 맞벌이 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로는 한사람의 봉급으로는 이 모든것을 커버하고 살기에는 힘들어서 아닌가 합니다.

얼마전 자료를 보니까 미국 가정의 평균 수입이 $4-50,000 이지만 실제로 미국에서 중산층이라고 느낄려면 일년 수입이 $160000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미국 전체로 볼때 상위 5%안에 드는 수입이지만 실제로 느끼는 체감 가정 경제는 중간 정도라는 이야기 이겠지요.

물가 상승도 상승이지만 그만큼 같은 돈 갖고 이전처럼 쓰기 쉽지가 않다는 것이지요. 사립대학교 일년 경비가 3-5만불을 넘나드는 시기이니 쉽게 예측이 됩니다.  다시 노후대책으로 넘어가 이렇게 되다 보니 받는 돈 갖고 저축하기도 쉽지 않으니 어떻게든 주어지는 각종 혜택안에서 노후 대책을 해결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는 401K 입니다.  납입하는 모든 돈이 텍스가 붙지 않으니 가능하면 많이 할수록 세금을 적게 낸다고 볼수 있으니 도움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회사에서 연봉의 6%까지 매칭을 해줍니다.

그러니 매칭을 받는 부분까지는 모두 납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봉급이 십만불이면 6000불까지는 회사에서 내주는 겁니다. 그러니 본인도 6000불까지는 401K에 납입을 하여야 겠지요. 그럼 일년에 12000불이 적립이 되는 것이지요.

그외에 요즘 미국회사들이 회사연금 즉 Pension을 모두 없애는 경향이라 많지는 않지만 공기업이나 대기업들중에 가끔은 연금을 적립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본인이 받고 있는 연봉에 준해서 몇%를 적립합니다.

그래서 대부분 입사한지 5년이 지나면 나중에 은퇴해서 육십대 중반쯤이면 회사연금으로 받아 먹을수 있습니다. 그러니 은퇴할 때까지 한 직장에 붙어 있는 것도 그리 나쁜 방법은 아닐 것 같습니다.

그외에 IRA에 일정금액을 저축하는 방식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오래 하다 보면 결국에는 많은 돈이 모이고 그돈이 결국에는 은퇴후 직장인들이 의지 할 수 있는 돈이 아닌가 봅니다.

물론 주식투자등등 여러가지 투자의 개념으로 하는 것들도 많지만 요즘 같은 시기에 신경 안쓰고 그냥 노후 자금을 만들기에는 위에서 말 한 방법이  최선이라 봅니다. 그러다가 조금 더 여유자금이 있다면 갖고 있는 집 몰게지에 조금더 부어서 이자를 줄이는 방법도 있겠지요.

이글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들은 어떻게 노후자금을 마련 하시는지요?

미국에서 직장 잡기 15 (미국 직장 생활)

항상 느끼는 부분이지만 구직자과 구직자와의 인터뷰 시간은 항상 긴장을 늦출수 없는 부분들입니다.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회사에 지원하였으니 합격을 하여 잡 오퍼를 받는게 목표이니 자신의 모든것을 보여주는게 목적입니다.

구인자의 입장에서도 항상 이사람이 회사에 적합한 사람인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점수를 주어 여러명의 후보들중 가장 최적의 인물을 뽑아야만 하는 부담감이 있으니 양쪽 모두에게 중요한 시간들이고 과정입니다.

밑은 저희 회사에서 인터뷰 과정시 인터뷰하는 모든 사람들이 개별적으로 점수를 매기는 표입니다.

예를 들면 후보자가 네명이면 네명 각각에 대해 점수를 주어야 하고요 인터뷰하는 사람이 3사람일때도 각각 개인이 밑의 표에다 점수를 기록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합한 점수의 평점으로 순위를 정하지만 꼭 점수에 의존하지는 않습니다.

아무리 점수가 높아도 어떤 개인에게 나쁜 점이 밝혀진 경우나 그외 태도등등 꼭 점수만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미묘한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결국의 인터뷰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점들을 부각시켜야만 하는게 정답일 뿐입니다.

잠시의 순간을 모면하고자 거짓말을 하거나 임시 방편의 모면은 결국 밝혀지게 마련입니다.

“Rating Guidelines:

1 = Unacceptable
2 = Below Expectation
3 = Per Expectation/Avg
4 = Above Expectation
5 = Outstanding”

TECHNICAL Rating (1-5): Rating (1-5): Rating (1-5): Rating (1-5):
Programming Langauge Concepts
OOD
JAVA
Problem Solving Skills
Design Skills
Engineer vs Programmer
Confidence
OVERALL

COMMENTS:

BEHAVIORAL Rating (1-5): Rating (1-5): Rating (1-5):
Team skills 0 0 0
Leadership 0 0 0
Initiative 0 0 0
Communication 0 0 0
Commitment/Accountability 0 0 0

COMMENTS

미국에서 직장 잡기 14 (미국직장 생활)

 

Agile Process 가 요즘 들어 미국회사에서 많이 쓰이는 말들 중의 하나 입니다. 특히나 제가 일하는 분야가 엔지니어링(Engineering) 쪽이라서 더 한지즌 몰라도 얼마전 까지 6 sigma로 회사의 모든 일하는 과정들에 적용하려고 하더니 요즘들어서는 Agile 프로세스를 모든 부서에 전부 적용하여 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팀을 소규모(small)의 팀(scrum)들로 구성하여 반복적인(iterative) 기간(sprints)안에 조금더 효율적이고 빠르고 질(quality)높은 결과를 갖자는 것입니다.

겉으로 봐서는 그냥 간단히 프로젝팀(project team)이 소규모로 나누어져 팀리더(team leader or project leader)가 진행하는 방식같지만 여기에 여러가지 기법이 도입되어서 약간의 기본적인 교육이 필요로 합니다.

먼저 스크럼팀(scrum team)은 대략 8명에서 10명 정도로 구성되며 스크럼메스터(scrum master),프러덕오우너(product owner),엔지니어들(engineers), 테크라이터(tech writer),테스트엔지니어(test engineer), 테크리더(tech leader),아키텍트(architect)로 만들어 집니다.

스프린팅(sprinting)은 보통 2주간을 사이클로 하며 4개의 스프린팅과 1개의 하드닝(hardening) 스프린트를 묶어서 한단위로 묶어버립니다. 매번 스프리팅이 진행되기 전에 전체 단위의 계획과 스프린트 계획을 만들며 스프린트가 시작됩니다.

계획시에는 큰 단위의 EPIC level의 스토리로 시작하여 이것을 세부적으로 나눈 차일드 스토리(child story)들로 나누면서 어떤 일들을(tasks) 할것인지 세부적으로 계획을 합니다. 물론 이시기에 기본적으로 스토리의 점수(point)및 시간 그리고 어떤것들이 결과이어야 할것인지를 결정합니다.

2주가 되면서 결과를 받아들일 것인지 프러덕오우너(product owner)가 결정짓게 되지만 이를 뒷바침 하는 것은 스토리를 구성하는 테스크(tasks, DoDs(definition of done))들로 나누어집니다.

이모든 테스크들을 완료하면서 합격 불합격을 결정짖고 각 스토리(story)에 정해진 포인트(point)를 받게 됩니다 물론 팀이 최종으로 합산한 점수로 팀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쉽게 알수 있는 척도가 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2주 마지막날이 되면 부서 전체의 스크럼팀들이 모두 모여서 리뷰를 합니다.

여기에서 잘잘못을 따지고 스프린팅에 대한 평가도 있기에 부서에서의 모든 진행 사항들을 쉽게 알수 있는 미팅입니다.

지금까지 수박 겉핡기 정도로 간단히 말씀 드렸지만 여러분들이 앞으로 저같은 엔지니어링 회사에 입사하게 되면 위에 말씀드린 포지션중의 하나에서 일하게 될 경우에 대비하여 미리 알려드리는 것입니다. 혹시라도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시면 저에게 따로 연락주셔도 됩니다.

미국에서 직장 잡기 13 (미국 직장 생활)

그동안 짧은 미국 직장 생활의 경험으로 오년전에 올렸던 글들을 다시 읽어 보면서 지금에 느끼는 것은 나도 젊고 패기가 있었던 때가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오년중에 현재 미국의 회사의 대명사로 일컬어 지는 아마존등에 지원을 해서 미역국도 먹어보고 한국의 내노라하는 대기업에서도 인터뷰 요청이 와서 떨어져 보기도 했다.

내가 생각되는 가장 큰 요인은 현재의 나이가 많아서 이기보다는 젊었을 때 처럼  이 직장이 아니면 않된다는 열의가 하늘과 땅 차이로 다르다.  한국의 미생이라는 드라마에서와 같이 직장에 죽기 살기로 덤벼도 쉽게 취업이 된다는 보장이 없는 데 너무 안이한 생각으로 몇개의 내노라하는 직장에 무턱대고 무모한 도전을 했기 때문일 것이다.

두번째로는 현재의 매니저나 프로젝트 메니저 포지션으로는 입사하려는 회사의 구인 스펙이 상대적으로 까다롭다는 것이다.  앤지니어로서는 아무래도 기술적인 면이 충족되면 약간의 부족 한 면들이 있더라도 용서(?)가 되는 부분들이 많지만 매니저급의 포지션들로는 새로운 직장에 도전하기가 어려운 부분들이 많다는 것을 체험했다.

그 부분들이 꼭 영어라는 제한적인 도구가 문제가 되지 않는 다고 생각된다. 물론 어느 정도 본인을 좋게 포장할 수는 있지만 구인하는 입장에서는 도구보다는 개인의 결정력이든지 생각하는 방식 혹은 일을 추진하는 성격등 여러가지로 나름대로 잣대를 가지고 세심하게 본다.  열개중 한두개라도 마음에 않들면 쉽게 접는다. 이유는 비슷한 조건의 사람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인지 의외로 MBA를 회사일과 병행해서 하는 동료들도 많이 생기고 있다.. 같은 스펙으로는 쉽게 남들과 경쟁에서 이기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은퇴를 생각해야 하는 나이에 접어 들면서 조금이라도 더 오래 직장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다시 앤지니어로 돌아가는 것도 그리 나쁜 생각은 아니라고 본다. 수명이 짧은 매니저포지션 보다는 대체로 안전하고 스트레스도 덜 받는 포지션으로 은퇴전까지 오래 버티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국처럼 명퇴같은 악조건은 아니지만 이곳 미국도 나이든 구직자에게는 취업문이 좁기는 마찬가지이다.

 

미국에서 직장 잡기 12 (미국직장 생활)

 
smartusliving.com
 
힘들게 인터뷰(job interview)를 끝낸뒤오퍼를 받고 나서 acceptance 편지나 이메일을 주면서 백그라운드체크(background check)가 들어 갑니다.

회사가 큰 경우나 특히 금융관련 회사(finance companies)들은 조사기관을 고용계약을(contract) 맺어 아주 철저히 합니다. 물론 이름이나 경력등에 나온 회사 이름만으로도 조사가 간단히 끝나는 경우도 있고 이전 회사가 작은 경우에는 직접 상사나 동료에게 전화를 걸어 간단한 확인을 합니다. 아주 성격적으로 파탄자나 나쁜 짓을 하기전 혹은 이전 경력을 거짓말을 한 경우외에는 큰 걱정 없이 통과 되기 마련입니다.

물론 이력서(resume)에 속임수를 쓰거나 이전 직장에서 나쁜 일로 해고 당하지 않았으면 문제가 없습니다. 오히려 이런게 사유가 되어서 입사를 취소할 경우가 여러가지 법적 (legal) issue가 되는 경우가 있어서 상당히 조심히 하는 절차중의 하나입니다.

그리고 취업비자 (h1b)의 경우는 이전의 직장에서 받은 봉급명세서(pay stub)를 3개 이상 반드시 줘야 하니 이전 직장에 대한 거짓말이 통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미국 직장들의 고용절차가 겉으로는 허술해 보여도 인터뷰 과정이나 기타 백그라운드 체크등으로 돌다리도 건너기 전에 확인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모든게 결정되어도 또 간단한 신체검사등을 통해 약물검사(drug test)나 하는 일에 지장이 없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도 과정중의 하나입니다.

 

미국에서 직장 잡기 11 (미국직장 생활)

 
smartusliving.com
 

이곳 미국에서 직장(Job)을 찿으면서 온사이트 인터뷰(on-site interview)를 하게 되면 가장 걱정이 되는 것들이 복장(Dress up)을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입니다. 특히나 IT 분야는 조금 더 개방적이고 자유로운게 사실입니다.

제가 다녔던 회사들은 대부분이 한국으로 말하자면 대기업들인데도 불구하고 청바지에 폴로 티셔츠를 주로 입고 다녀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신발도 가끔은 운동화나 샌달도 신고 다녀도 뭐 큰 무리가 없을 정도이지만 포지션(Position)이 엔지니어링(Engineering)에서 매니지먼트(Management)로 바뀌게 되면 이곳 미국애들이 쉽게 이야기하는 비지니스 캐주얼(Business Casual) 로 바뀌게 됩니다.

물론 거래처 사람들도 많이 만나고 위에 높은 지위에 사람들과 미팅도 많게 되다보니 자연스럽게 청바지(Blue Jean)는 못입게 되고 그렇다보니 위에도 단정한 긴팔로 된 와이셔츠를 입지만 넥타이는 물론 대체로 안합니다.

다시 인터뷰 복장으로 돌아가서 직장을 구하는 사람의 입장이 되면 많은 고민입니다. 정장(Suit)을 하고 가냐 아니면 비지니스 캐주얼이냐 사이에서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HR 담당자에게 인터뷰전에 복장은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물어보는 경우가 많은게 사실입니다. 사실 인터뷰시 정확히 어떤 복장을 꼭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게 아니지만 입장을 바꾸어 놓고 정장을 입은 사람과 청바지를 입은 사람이 비슷하게 인터뷰를 했을 때 저 같아도 정장을 입은 사람에게 더 끌리게 되는게 인지 상정입니다. 그리고 제가 지금까지 인터뷰를 하는 입장(Interviewer)에서의 경우로는 정장을 갖추지 않은 후보(Interviewee)들은 한명도 없었습니다.

상대편에게 보다 더 진지한 모습을 보여주는 기회도 되고 그만큼 인터뷰를 위해서 준비했다는 것도 보여주는 기회가 되니 조금은 힘들어도 꼭 정장에 넥타이를 갖추는 모습을 보여주어도 나쁘지 않을듯 합니다. 모든게 결정이 된 뒤에 입사후에는 정말로 자신이 편한 복장을 하여도 상관 없지만 첫 인상만큼은 세계 공용화된 느낌이 아닐까 합니다.

미국 직장 잡기 12 (미국 직장생활) 보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